맨위로가기

계백 (드라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계백은 2011년 MBC에서 방영된 드라마로, 백제의 마지막 장군 계백의 삶을 다룬다. 이서진이 계백 역을, 조재현이 의자왕 역을, 송지효가 은고 역을 맡아 주요 등장인물로 출연했다. 드라마는 무왕, 의자왕 시대의 백제를 배경으로, 계백의 활약과 황산벌 전투를 중심으로 전개된다. 30부작으로 기획되었으나 6회 연장되어 총 36부작으로 방영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백제 역사 드라마 - 서동요 (드라마)
    2005년 SBS 창사 특집 드라마 《서동요》는 이병훈 PD와 김영현 작가가 백제 무왕의 젊은 시절과 서동과 선화공주의 사랑 이야기를 다룬 작품으로, 조현재, 이보영 등이 출연하여 평균 19.8%의 시청률을 기록했다.
  • 백제 역사 드라마 - 삼국시대 영웅전
    삼국시대 영웅전은 2011년부터 2013년까지 방영된 한국 드라마 시리즈로, 삼국 시대 역사적 인물들의 삶과 업적을 다루며 일부 작품에서는 역사 왜곡 논란이 있었다.
  • 계백을 소재로 한 작품 - 삼국기
    삼국기는 KBS에서 1992년부터 1993년까지 방영된 드라마로, 삼국시대의 역사적 사실을 바탕으로 고구려, 백제, 신라 삼국의 흥망성쇠와 주요 인물들의 이야기를 다룬 작품이다.
  • 계백을 소재로 한 작품 - 황산벌 (영화)
    황산벌은 이준익 감독이 연출하고 박중훈, 정진영 등이 출연한 2003년 영화로, 백제와 신라의 황산벌 전투를 코미디적으로 재구성하여 전쟁의 비극성을 희화화한 작품이다.
계백 (드라마) - [TV프로그램]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홍보 포스터
홍보 포스터
장르사극
액션
극본김근홍
연출정형수
출연이서진
조재현
송지효
오연수
국가대한민국
언어한국어
에피소드 수36
책임 프로듀서한희 (MBC)
프로듀서김광수
김동구
이선상
러닝 타임70분
제작사계백 SPC
커튼콜
방송사MBC
첫 방송일2011년 7월 25일
마지막 방송일2011년 11월 22일
한국어 제목
한글계백
한자階伯
로마자 표기Gyebaek
일본어 제목
가나ケベク

2. 주요 등장인물

이서진 - 계백 역 (아역 이현우)

조재현 - 의자 (백제의 마지막 왕) 역 (아역 최원홍, 노영학)[3]

송지효 - 은고 역 (아역 전민서, 박은빈)[4][5]

오연수 - 사택비

효민 - 초영 역 (아역 한보배)[6]

진태현 - 교기 역 (아역 남다름, 서영주)

최종환 - 무왕

차인표 - 무진 역 : 계백의 아버지 (특별 출연)

신은정 - 선화왕후 - 무왕의 첫 번째 부인이자 의자왕의 어머니 역

전노민 - 성충

윤다훈 - 독개 역

김유석 - 흥수

고윤후 - 대수 역 (아역 이풍운)

장희웅 - 용수 역 (아역 이찬호)

조경훈 - 백파 역

윤원석 - 포덕 역

박성웅 - 김유신

안길강 - 귀운 역

정성모 - 윤충

김병기 - 사택 적덕

권용운 - 천돌 역

조상기 - 남조 역

김중기 - 기미 역

서범식 - 사굴 역

최재호 - 의직

김동희 - 은상

임현식 - 연문진 역

순동운 - 진국 역

이병식 - 협종 역

정한헌 - 백은 역

정기성 - 연충민 역

채희재 - 초랭이 역

이태경 - 무녀 역

이한위 - 임자

오지영 - 정화 역

최란 - 영묘 역

류제희 - 효소 역

박유환 - 북조 역

김혜선 - 을녀 역 : 문근의 친어머니. 계백의 양어머니 (특별 출연)

김현성 - 문근 역 (아역 이민호)

김유진 - 열배 역

이동규 - 김춘추

한지우 - 연태연 역

정소영 - 명주 역 : 계백의 어머니 (특별 출연)

곽민석 - 목한덕 역

강철성 - 유신의 선배 역

2. 1. 주인공

이서진이현우가 계백 역을 맡았다. 이서진은 백제의 마지막 장군이자 뛰어난 전쟁 전략가인 계백을 연기했으며, 이현우는 아역 계백을 연기했다. 계백은 무진의 아들로, 평민으로 자랐으나 아버지의 죽음 이후 신라에서 성장하며 '이리(늑대)'라고 불렸다. 이후 의자왕과 재회하여 그를 돕고 새로운 나라를 만드는 데 헌신한다.

조재현의자 역을 맡아 백제의 마지막 왕을 연기했다.[3] 아역은 최원홍노영학이 연기했다.[3] 의자왕은 무왕과 선화왕후의 아들로, 어머니가 신라 출신이라는 이유로 목숨의 위협을 받으며 자랐다.[3] 사택비를 쓰러뜨리기 위해 계백, 성충, 흥수와 의형제를 맺었으나, 권력을 얻으면서 점차 변해간다.

송지효은고 역을 맡아 계백의 첫사랑이자 의자왕의 부인을 연기했다.[4][5] 아역은 전민서박은빈이 연기했다.[4][5] 은고는 빼어난 미모와 총명함을 갖춘 지략가이자 정치가이다. 부모의 복수를 위해 사택비에게 접근하고, 의자왕을 도와 그를 왕위에 올리지만, 결국 의자왕의 계략으로 그의 아내가 된다.

오연수사택왕후 역을 맡아 무왕의 측실이자 교기의 어머니를 연기했다. 왕권을 노리고 책략을 꾸미는 인물로, 의자왕을 제거하고 자신의 아들 교기를 왕위에 올리려 한다.

무왕은 최종환이 연기했다. 의자왕의 아버지이자 선화왕후와 사택비의 남편으로, 신라 왕족과의 혼인으로 인해 신하들에게 괴롭힘을 당했다.

2. 2. 백제 왕실

최종환이 무왕 역을 맡았다.[3] 무왕은 의자왕의 아버지이자 선화황후사택비의 남편이다.[3] 신라 왕족 선화와 혼인한 것이 약점이 되어, 신하들에게 자주 괴롭힘을 당하며 억눌려 지냈다. 아들 의자왕을 진심으로 사랑하지만, 의자왕의 생명의 위험을 생각해 겉으로는 차갑게 대한다.[3] 마지막까지 의자왕에게 강력한 왕권을 쥐도록 뜻을 전하며 파란만장한 생애를 마친다.

신은정선화황후 역을 맡았다.[3] 무왕의 정비이자 의자왕의 생모이며 진평왕의 셋째 딸이다.

오연수는 사택비 역을 맡았다.[3] 무왕의 두 번째 부인으로, 제2비이며 통칭 사택비로 불린다. 교기의 어머니이자 사택 적덕의 딸이다. 왕권을 노리고 책략을 꾸미는 영리하고 냉철한 인물이다. 의자왕을 제거하고 자신의 아들 교기를 다음 왕으로 원하지만, 교기에게 그릇이 없다는 것을 인정하고 있다. 위제단을 사용하여 정적을 제거하고, 선화왕후도 죽게 만들었다. 무능한 척하는 의자왕을 의심하고 복수심을 품고 있음을 간파하고 있다. 무진을 사랑했으며, 무왕도 그 사실을 알고 있다.

조재현의자 역을 맡았다.[3] 백제의 마지막 왕으로, 무왕과 선화황후의 아들이다. 어머니 선화왕후가 신라 출신이었던 탓에 출생부터 사택비 일파에게 노려져 목숨의 위험에 놓인 채 자란다. 어머니의 죽음 후 무진과도 헤어지고, 추격자를 피해 사비(泗沘)성으로 돌아온 후에는 사택비에게 아첨하며 무능한 척하며 살았다. 사택비를 쓰러뜨리기 위해 계백, 성충, 흥수와 의형제를 맺는다. 자신을 위해 목숨까지 버린 무진의 아들인 계백에게 형제와 같은 우애와 뜨거운 우정을 품었지만, 권력을 얻으면서 점차 변해간다. 명군을 꿈꾸지만 좌절한다.

진태현교기 역을 맡았다.[3] 무왕과 사택비의 아들로, 의자왕의 이복 동생이다. 사택비의 권세를 믿고 자란다. 호전적이고 야심가이며, 이복 형인 의자왕의 목숨을 노리고 있다. 그의 무자비함은 정적들을 억누르고, 부하 군사들의 절대 복종을 이끌어내지만, 덕이 없는 공포 정치의 허무함과 한계성을 보여주는 인물이다.

김병기는 사택 적덕 역을 맡았다. 사택비의 아버지이며 좌평(백제의 최고 관직)이다. 대성 팔족(백제 최대의 파벌)의 리더로, 정사암 회의를 이끈다. 무왕도 함부로 대하지 못하는 권력자이다. 백제에 대한 충성심이 두텁고, 지략과 권모술수에 능하며 정세에도 밝다.

정성모윤충역을 맡았다. 무왕, 의자 2대에 걸쳐 활약한 충신으로 무왕의 오른팔이었다.

최재호는 의직역을 맡았다. 무왕, 의자 2대에 걸쳐 활약한 충신으로 사택비와 한때 좋은 사이였다.

김동희는 은상역을 맡았다. 신라 석토성을 공략한 전사이며, 의자 즉위 초까지 등장하는 충신으로, 장렬한 전사를 한다.

김진호는 왕효린 역을 맡았다. 조정좌평(사법 담당 대신)이며, 중국계 백제인이다. 의자왕 시대에는 중도 세력이 된다.

서범식은 사걸 역을 맡았다. 장군이며 무왕에게 절대 충성을 바치는 충신이다. 젊은 시절, 무왕의 명을 받아 전장에서 크게 활약했으며 무왕의 결단을 재촉하는 인물이다.

김준기는 기미 역을 맡았다. 내신 좌평(왕명 전달의 대신)이며 사택비와 교기의 참모이다. 교활한 인물로, 뛰어난 행정 능력과 지략으로 사택비와 사택 적덕에게 중용된다.

윤영목은 해수 역을 맡았다. 무왕 시대의 장군으로 위사좌평이다. 대성 팔족의 주요 인물 중 한 명으로, 사택 적덕에게 충성을 바친다. 스스로 판단하는 능력은 없지만, 화합을 중요시하는 우직한 인물이다.

류재희는 효서 역을 맡았다. 사택비의 시녀이며, 교기의 아내가 되기를 원한다.

임현식은 연문진 역을 맡았다. 백제의 원로로, 일찍이 위덕왕의 자질을 알아보고 딸을 시집보내 위덕왕을 지원한다. 무왕과 모의하여 사택 가문을 일소하려 하지만, 오히려 사택비의 계략에 빠져 비운의 죽음을 맞이한다.

정기성은 연태경 역을 맡았다. 연문진의 아들이며 아버지와 함께 위덕왕을 지원하며, 아버지와 운명을 같이한다.

한지우는 연태연 역을 맡았다. 연문진의 딸이며 위덕왕의 첫 번째 부인이다. 태자 부여융과 부여태 두 왕자를 낳는다.

최재환은 조련 역을 맡았다. 위덕왕을 섬기는 환관이다.

이태경은 정다녤 역을 맡았다. 무녀이며 전 동명묘의 신녀이다. 궁궐에서 추방당해 몸을 숨기고 있었지만, 갑자기 궁궐에 나타나 그 후 은고와 교기를 만나는 등 예언을 통해 간접적으로 정치에 관여한다. "은고가 왕비가 되면 백제는 멸망할 것이다"라고 예언한다.

손동운은 친구 역을 맡았다. 병관좌평(군사 담당 대신)이다.

이병식은 협천 역을 맡았다. 내관좌평이다.

정하농은 백은 역을 맡았다. 내두좌평(재정 담당 대신)이다.

2. 3. 계백 관련 인물

전노민이 연기한 성충제갈공명에 비견될 만한 뛰어난 책사로 묘사된다. 원래 백제의 관리였으나 신라의 포로가 된 상태에서 계백을 만나 그의 스승이 된다. 성충은 새로운 백제의 기초를 다지는 데 뛰어난 행정 수완을 발휘하며, 백제의 충신으로 그려진다.

김유석이 연기한 흥수는 뛰어난 지략가로, 성충과 함께 백제를 이끄는 쌍두마차로 묘사된다. 행정 분야에서 능력을 발휘하는 성충과 달리, 흥수는 군사적 지략에 뛰어나다. 계백의 군사(軍師)이자 성충의 지기(知己)이며, 백제의 충신이다.

윤다훈이 연기한 독개는 살인 청부업자로, 계백과 그의 아버지 무진을 괴롭히는 경박한 인물로 그려진다.

고윤후(이풍운 아역)가 연기한 대수는 시장에서 행패를 부리던 시절부터 계백을 따르던 오랜 친구이다. 계백이 포로로 신라에 끌려갈 때 그를 구하기 위해 연수와 함께 신라와의 격전지로 향한다. 이후 출세하여 계백과 함께 황산벌 전투에 참전한다.

장희웅(이찬호 아역)이 연기한 용수는 태수의 동생으로, 형과 마찬가지로 어린 시절부터 계백을 따랐다. 신라 포로 생활 중 마음에 안 드는 성충을 괴롭히지만, 그에게 목숨을 구원받은 후에는 은인으로 숭배하게 된다.

조경훈이 연기한 백파는 원래 산적 두목으로, 괴력의 소유자이다. 계백과 흥수에게 산중 요새를 빼앗긴 후 계백에게 무조건적인 충성을 맹세하는, 무식하지만 의리 있는 인물이다.

윤원석이 연기한 포득은 백제에서 신라로 파견된 밀정이다. 백제의 말은 잊고 신라의 말만 사용하며, 변장의 달인으로 술집 여인에게서 얻은 정보부터 궁중의 상세한 정보까지 꿰뚫고 있어 계백을 크게 돕는다.

김유진이 연기한 열배는 독개의 애첩이다.

정소영이 연기한 명주는 계백의 어머니이자 무진의 아내이다. 도망 중에 목숨을 버리고 계백을 출산한다.

김혜선이 연기한 을녀는 문근의 친어머니이자 계백의 양어머니이다. 거친 성격이지만 다정한 면도 있으며, 계백 등과 함께 위제단에 무진에 대한 인질로 붙잡혀 살해당한다. 평소 친아들 문근보다 양아들 계백에게 더 다정하게 대한다.

김현성(이민호 아역)이 연기한 문근은 을녀의 의붓아들이자 계백의 의붓형이다. 다소 이기적인 성격이지만 계백과는 친형제처럼 자랐다. 하지만 가족을 죽인다는 협박에도 굴하지 않고 어머니를 죽게 내버려둔 무진과, 상처 입은 어머니와 자신을 버리고 떠난 계백에게 배신감을 느껴 적대심을 품는다. 보려로 이름을 바꾸고 살인 청부를 시작하여, 독개 등을 잡아 수하로 삼는다. 위제단에 대한 복수에 불탄다.

차인표는 계백의 아버지 무진 역으로 특별 출연했다.

2. 4. 무왕 관련 인물

최종환이 무왕 역을 맡아 백제의 20대 왕이자 의자왕의 아버지인 현명한 왕을 연기했다. 무왕의 첫 번째 부인이자 의자왕의 어머니는 선화왕후로, 신은정이 연기했다. 무왕의 두 번째 부인은 사택비로, 오연수가 이 역할을 맡았다.

차인표는 백제의 충신이자 계백의 아버지인 무진 역을 연기했다. 무진은 덕솔이자 무왕의 스승이자 의동생이며, 선화왕후와 의자의 호위무사였다. 사택비의 계략으로 선화왕후와 함께 신라 밀정의 누명을 쓰고 도망쳤으나, 위기를 벗어났지만 도망 중에 아내를 잃고 계백을 얻었다. 이후 자객으로 생업을 삼으면서 위사단을 쫓았고, 의자와 계백을 돕기 위해 반란을 일으킨 척하며 스스로 의자에게 죽임을 당했다.

정성모는 무왕과 의자왕 2대에 걸쳐 활약한 충신 윤충 역을, 최재호는 무왕과 의자 2대에 걸쳐 활약한 충신 의직 역을 맡았다. 김동희는 신라 석토성을 공략한 전사이자 의자 즉위 초까지 등장하는 충신 은상 역을 연기했다. 김진호는 조정좌평(사법 담당 대신)이자 중국계 백제인으로 왕효린 역을 맡아 의자왕 시대에 중도 세력이 되었다. 서범식은 무왕에게 절대 충성을 바치는 충신 사걸 역을 맡았다.

2. 5. 의자왕 관련 인물

의자(백제의 마지막 왕)은 무왕선화왕후의 아들이다.[3] 조재현이 연기했으며, 아역은 최원홍노영학이 연기했다.

부여태김진성이 연기했다.

연문진은 백제의 원로 대신이다. 위덕왕의 자질을 일찍이 알아보고 자신의 딸을 시집보내 그를 지원했다. 무왕과 함께 사택비 가문을 몰아내려 하지만, 오히려 사택비의 계략에 빠져 죽음을 맞이한다. 임현식이 연기했다.

연태연은 연문진의 딸이자 위덕왕의 첫 번째 부인으로, 태자 부여융부여태 두 왕자를 낳았다. 한지우가 연기했다.

연태견은 연문진의 아들로, 아버지와 함께 위덕왕을 지원하며 운명을 같이한다. 정기성이 연기했다.

진국 역은 순동운이 연기했다.

협종 역은 이병식이 연기했다.

백은 역은 정한헌이 연기했다.

사택천복 역은 최범호가 연기했다.

초랭이 역은 채희재가 연기했다.

신녀 천단향 역은 이태경이 연기했다.

2. 6. 사택비 관련 인물

김병기가 연기한 사택적덕은 사택비의 아버지이자 상좌평이다. 대성팔족의 리더로 정사암 회의를 이끌었으며, 무왕도 함부로 대하지 못하는 권력자였다. 백제에 대한 충성심이 깊고 지략과 권모술수에 능했다.

안길강은 위제단의 1인자 귀운 역을 맡았다. 조상기는 위제단의 2인자 남조 역을, 박유환은 위제단의 일원인 북조 역을 연기했다.

김중기는 기미 역을 맡아 사택비와 교기의 참모이자 내좌평을 연기했다. 김용헌은 무왕 대의 장수이자 좌평인 해수 역을 맡았다. 류제희는 사택비의 시녀 효소 역을 연기했다.

2. 7. 은고 관련 인물

권용운은 대장장이로 계백의 언월도를 만든 인물이며, 무진과 인연이 깊은 여명단의 일원 천돌 역을 맡았다. 비꼬는 면이 있다. 효민(한보배)은 쾌활하고 장난기 넘치는 아이처럼 보이지만,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항상 밝고 긍정적인 성격을 잃지 않는 초영 역을 맡았다.[6] 부모를 잃고 혼자가 된 자신을 거두어 친동생처럼 키워준 은고에게 충실히 따르며, 계백을 짝사랑하며, 이후 그의 아내가 된다. 이한위은고의 오른팔이 되어 지원하는 상인 임자 역을 맡았다. 당나라와 왜국은 물론 적국을 상대로도 상관없이 장사를 하며, 이후 좌평까지 출세한다. 오지영은 은고의 시녀로, 냉정하게 은고를 보좌하며 내심으로는 은고가 평범한 여성으로서의 행복을 찾기를 바라는 정화 역을 맡았다. 최란은 노예 시장에 나온 은고와 어머니를 사들여 은고를 상단으로 이끈 인물로, 임자와 함께 은고를 돕기 위해 자결하는 영묘 상단의 우두머리 영묘 역을 맡았다.

2. 8. 신라 세력

김유신(박성웅)은 신라의 상장군으로, 삼한일통의 꿈을 품은 야심가였다. 황산벌 전투에서 계백과 맞서 싸웠다. 김춘추(이동규)는 선덕여왕의 조카이자 훗날 신라 국왕 무열왕이 되는 인물이다. 계백이 포로로 신라에 끌려왔을 때 처음 만났으며, 실리를 우선시하고 외교 수완이 뛰어났다. 알천(전진기)은 가잠성 성주였다. 김서현(이종구)은 김유신의 아버지이며, 김흠순(권기주)은 김유신의 동생이다.

2. 9. 고구려 세력

고인범연개소문역을 맡았다. 박성웅김유신역을 맡았다.

3. 백제의 정치와 사회

3. 1. 중앙 정치

3. 2. 귀족 세력

3. 3. 백성의 삶

4. 백제의 멸망과 국제 정세

4. 1. 나당 연합

4. 2. 황산벌 전투

7세기 중반 백제를 배경으로, 황산벌 전투에서 백제의 마지막 항전을 이끌었던 계백은 신라와의 마지막 전투에서 사망한다.

4. 3. 백제 멸망 이후

5. 일화

2011년 8월 21일 교기 역의 진태현이 낙마 사고로 목과 척추 부상을 입어 전치 4주 진단을 받고도 투혼을 발휘했다.[12][13] 9월 6일에는 의자왕 역의 조재현이 다리 근육 파열 부상에도 불구하고 투혼을 발휘했다.[14][15]

6. 수상

}}}

|won = }

|1|1st|gold = }

|2|2nd|silver = }

|3|3rd|bronze = }

|platinum = }

|honorary = }

|#default = }

}}; color: {{

#switch: }}}

|platinum = }

|#default = }

}}; vertical-align: middle; text-align: }; }" class="yes table-yes2 notheme"|}}|}}}

|won = }

|1|1st|gold = }

|2|2nd|silver = }

|3|3rd|bronze = }

|platinum = }

|honorary = }

|#default = }

}}|{{

#switch: }}}

|platinum = }

|#default = }

}}}} < 4.5|}}}}}}}}}}

}}}

|won = }

|1|1st|gold = }

|2|2nd|silver = }

|3|3rd|bronze = }

|platinum = }

|honorary = }

|#default = }

}}; color: {{

#switch: }}}

|platinum = }

|#default = }

}}; vertical-align: middle; text-align: }; }" class="yes table-yes2 notheme"|}}|}}}

|won = }

|1|1st|gold = }

|2|2nd|silver = }

|3|3rd|bronze = }

|platinum = }

|honorary = }

|#default = }

}}|{{

#switch: }}}

|platinum = }

|#default = }

}}}} < 4.5|}}}}}}}}}}

}}}

|won = }

|1|1st|gold = }

|2|2nd|silver = }

|3|3rd|bronze = }

|platinum = }

|honorary = }

|#default = }

}}; color: {{

#switch: }}}

|platinum = }

|#default = }

}}; vertical-align: middle; text-align: }; }" class="yes table-yes2 notheme"|}}|}}}

|won = }

|1|1st|gold = }

|2|2nd|silver = }

|3|3rd|bronze = }

|platinum = }

|honorary = }

|#default = }

}}|{{

#switch: }}}

|platinum = }

|#default = }

}}}} < 4.5|}}}}}}}}}}

#FFE3E3; color: black; vertical-align: middle; text-align: }; }" class="no table-no2 notheme"|}

#FFE3E3; color: black; vertical-align: middle; text-align: }; }" class="no table-no2 notheme"|}

#FFE3E3; color: black; vertical-align: middle; text-align: }; }" class="no table-no2 notheme"|}

#FFE3E3; color: black; vertical-align: middle; text-align: }; }" class="no table-no2 notheme"|}

연도시상식부문수상자결과출처
2011MBC 연기대상PD상최종환수상
PD상김정태수상
미니시리즈 부문 여자 신인상효민수상
미니시리즈 부문 여자 우수상송지효후보
드라마빈스 어워드2011년 최고의 시대극계백후보[7]
2012백상예술대상TV 부문 남자 인기상이서진후보[8]
TV 부문 여자 인기상송지효후보


7. 시청률

아래의 '''파란색 숫자'''는 '최저 시청률'이고, '''빨간색 숫자'''는 '최고 시청률'이다. 시청률조사회사와 지역별로 시청률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16][17]

2011년
회차방송일TNmS 시청률[16]AGB 시청률[17]
대한민국(전국)서울(수도권)대한민국(전국)서울(수도권)
제1회7월 25일7.5%9.6%10.6%12.6%
제2회7월 26일8.6%11.0%11.0%12.2%
제3회8월 1일9.3%11.3%10.1%11.4%
제4회8월 2일9.6%12.2%11.5%13.2%
제5회8월 8일10.7%12.0%13.2%14.2%
제6회8월 9일11.2%12.5%13.5%14.8%
제7회8월 15일10.3%13.2%13.5%14.9%
제8회8월 16일10.8%13.2%14.1%15.6%
제9회8월 22일11.7%12.9%14.3%16.1%
제10회8월 23일12.0%13.6%14.1%16%
제11회8월 29일10.9%12.9%13.7%15.8%
제12회8월 30일10.9%13.4%13.6%15.7%
제13회9월 5일10.5%12.5%12.9%14.7%
제14회9월 6일10.4%12.6%13.0%14.2%
제15회9월 12일7.9%9.6%10.0%10.9%
제16회9월 13일9.7%11.0%11.6%13.1%
제17회9월 19일9.6%11.6%12.1%13.1%
제18회9월 20일11.1%13.4%12.8%14.2%
제19회9월 26일10.0%11.4%11.8%13.1%
제20회9월 27일9.9%12.0%11.6%12.4%
제21회10월 3일9.6%11.3%10.9%11.6%
제22회10월 4일10.1%12.1%11.0%12.3%
제23회10월 10일8.9%11.8%10.1%11.5%
제24회10월 11일11.6%13.9%12.8%14.4%
제25회10월 17일10.3%13.5%13.5%14.9%
제26회10월 18일11.0%12.4%12.9%14.8%
제27회10월 24일11.3%13.8%13.1%14.8%
제28회10월 25일10.7%12.7%13.3%15.1%
제29회10월 31일9.4%12.3%11.5%12.7%
제30회11월 1일11.0%13.2%11.5%11.7%
제31회11월 7일9.5%10.5%11.0%12.3%
제32회11월 8일9.8%10.1%11.8%13.4%
제33회11월 14일9.2%10.6%11.8%12.7%
제34회11월 15일9.8%10.8%11.2%12.7%
제35회11월 21일10.3%11.6%12.3%14.4%
제36회11월 22일11.0%13.0%13.0%14.9%


8. 연장

2011년 11월 10일, ''계백''은 30부작에서 6회 연장된 36부작으로 변경, 확정되었다.

9. 경쟁 프로그램

10. 국제 방송

베트남 VTC9 - 렛츠 비엣에서 2015년 1월 23일부터 방영되었다.[9] 이란 IRIB 나마예시 TV에서 2015년 6월 6일부터 2015년 7월 15일까지 방영되었다.[9] 태국 3 패밀리 (채널 3 네트워크)에서 2016년 8월 25일부터 방영되었다.[10]

일본에서는 포니캐년에서 더빙판을 제공하였다.[11] 주요 성우는 다음과 같다.


  • 계백: 카와시마 토쿠요시/川島得愛일본어
  • 의자왕: 후지마 마사히데/藤真秀일본어
  • 목은고: 우에다 세이코/植田星子일본어
  • 무왕: 나카노 유타카/中野裕斗일본어
  • 사택비: 무네카타 마리코/宗形真理子일본어
  • 무진: 카토 아키오/加藤朗史일본어
  • 사택적덕: 마치다 마사노리/町田政則일본어
  • 교기: 키시오 다이스케/岸尾だいすけ일본어
  • 성충: 키노시타 히로유키/木下浩之일본어
  • 태수: 이타도리 마사아키/板取政明일본어
  • 도깨: 오카 테츠야/岡哲也일본어
  • 김유신: 카즈키 히토시/一木仁史일본어
  • 명주: 타케우치 아야코/竹内絢子일본어
  • 초영: 안도 히토미/安藤瞳일본어
  • 흥수: 마루야마 소시/丸山壮史일본어
  • 연수: 에토 히로키/江藤博樹일본어
  • 김춘추: 미카미 사토시/三上哲일본어
  • 귀운: 사토 타쿠야/佐藤拓也일본어

참조

[1] 웹사이트 Gyebaek, Warrior's Fate http://content.mbc.c[...] MBC&iMBC 2019-01-09
[2] 웹사이트 Dramas Shot in Dramia http://withmbc.imbc.[...] 2014-01-12
[3] 웹사이트 Jo Jae-hyun to turn king in new historical drama http://www.tenasia.c[...] 2011-05-25
[4] 뉴스 Gyebaek actress rushed to hospital https://web.archive.[...] Korea JoongAng Daily 2011-11-24
[5] 뉴스 Song Ji Hyo Leaves Hospital to Return to ''Gye Baek'' http://enewsworld.mn[...] 2012-09-20
[6] 뉴스 Hyo Min Criticized for Wearing Circle Lenses in a Traditional Drama http://enewsworld.mn[...] 2011-08-17
[7] 웹사이트 2011 Beanie Awards: Vote for your favorite dramas of the past year » Dramabeans Korean drama recaps https://www.dramabea[...] 2011-12-07
[8] 웹사이트 계백 https://movie.naver.[...] 2022-07-20
[9] 웹사이트 اخبار سینمای ایران http://namayeshtv.ir[...] 2015-06-06
[10] 웹사이트 เรื่องย่อ ยอดขุนพลคู่แผ่นดิน (Gye Baek) http://luvasianserie[...] 2016-09-12
[11] 문서 階伯 - ポニーキャニオン http://gyebaek.ponyc[...]
[12] 뉴스 진태현 낙마사고에 목과 척추 부상 http://www.newsway.k[...] 뉴스웨이 2011-08-22
[13] 뉴스 진태현 낙마사고 "전치4주 진단 받고도 투혼 발휘" http://www.kyeongin.[...] 경인일보 2011-08-22
[14] 뉴스 조재현 다리 부상 '근육 파열에도 투혼 발휘' http://artsnews.mk.c[...] 아츠뉴스 2011-09-07
[15] 뉴스 ‘계백’ 조재현, 다리 부상에도 투혼 강행 http://news.jkn.co.k[...] 재경일보 2011-09-07
[16] 웹인용 TNmS 멀티미디어 홈페이지 http://home.tnms.tv/[...] 2012-11-18
[17] 웹인용 AGB닐슨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 http://www.agbnielse[...] 2011-06-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